본문 바로가기

과학용어 풀이

[환경용어 설명] BOD는 무엇인가? 개념, 의미, 뜻 해설

반응형

 

BOD의 의미는 Biochemical Oxygen Demand의 약어로 우리말로 풀어쓴다면, 생물화학적 산소 요구량입니다.

BOD가 환경에서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미생물이 분해 가능한 유기물질의 양을 간접적으로 나타냅니다.

2. COD(chemical oxygen demand) 수치와 비교를 통해 난분해성 물질의 양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3. 호소수나 강물, 폐수, 오수가 자연의 자정작용으로 개선될 수 있는 가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4. 지점별 BOD 측정으로 오수나 폐수의 유입구간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고 표현한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유기물질의 양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2. 미생물이 해당 시료에 포함된 유기물질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산소의 양(미생물의 호흡에 필요한 양)으로 분해가능한 유기물질의 양을 추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측정의 대략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채취한 시료의 DO를 즉시 측정합니다.

2) 채취한 시료를 밀봉한 후 20℃의 암소(어두운 곳)에서 5일간 방치합니다.

3) 5일이 지난 후 DO를 측정합니다.

 

BOD = (즉시 측정한 DO)(5일 후 측정한 DO)

※ 여기서 DO는 Dissolved Oxygen의 약어로, 용존산소, 즉 물에 녹아서 존재하는 산소의 농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BOD의 단위는 일반적으로 DO의 농도와 같은 'mg/L'로 나타냅니다.

 

폐수처리장에서는 일반적으로 BOD, COD, TOC(Total Organic Carbon)를 측정하여 각 폐수처리공정에서 분해가능한 유기물질의 양을 파악하고는 합니다.

 

만약, 폐수 원수에 BOD에 비해 COD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난분해성 물질이 많이 함유된 것으로 보고, 폐수처리를 화학적 처리방식을 검토하게 됩니다.

 

BOD의 경우 측정방식의 특성상, 현장에서 바로 결과치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즉각적인 대처가 힘듭니다.

(측정방식 자체가 5일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 전기전도도를 통한 용해성 오염물질을 추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폐수/오수처리장에서는 주기적으로 BOD를 분석하여 유입수와 방류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여야 합니다.

※ 물환경보전법에서는 측정항목이 COD는 항목에서 제외되었으며, TOC(Total Organic Carbon)로 유기물질 측정항목이 신설되었습니다.

폐/오수처리장 방류수조에 살균을 위한 약품을 사용한다면, BOD수치에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 실제 유기물량에 비해 낮은 수치를 기록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같은 사유로 BOD 측정 시 멸균병을 사용하곤 하는데, 시료로 해당 멸균병을 2~3번 정도 헹구어 내고 사용하기도 합니다.

 

BOD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 드렸습니다.

다음에는 COD와 TOC에 대해서도 설명 드리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