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C
TOC의 의미
‘Total Organic Carbon(전 유기탄소)’의 약어입니다.
BOD(Biochemical Oxygen Demand)와 COD(Chemical Oxygen Demand)는 산화과정에서 사용되는 산소의 양을 측정하여 표기하는 방법으로 시료의 유기물의 양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반면에 TOC의 경우 직접적으로 시료에 포함된 유기탄소의 양을 측정합니다.
TOC의 측정방법
TOC의 측정방식은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측정시료를 고온산화(550도씨) 시키거나, 과황산-UV, 혹은 과황산-열 공정을 통하여 산화시켜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합니다.
이때 발생한 이산화 탄소의 양을 측정하여 실제 시료에 포함된 유기탄소의 양을 구합니다.
더 쉽게 말하면, 시료를 태우면(산화) 시료내부에 포함된 탄소가 대기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생성된 이산화탄소가 발생되고, 이때,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하여 탄소의 양을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폐수배출시설의 배출기준-물환경보전법
일반적으로 물의 청정상태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되며, 환경영역에서는 2020년부터 COD를 대신하여 폐수배출시설의 기준으로 선정되었습니다.
TOC의 활용범위
사실 환경에서 TOC를 도입하기 이전부터 물의 오염도를 판단하기에 적합한 특성으로 인하여 반도체 사업,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사용하는 세척수(초순수)의 품질을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되어 왔으며, 보일러나 터빈등을 많이 사용하는 발전산업, 증기생성산업 등에서는 보일러 관체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급수감시를 위해 사용되어 왔습니다.
음용수 혹은 세척수를 사용하는 공정에서도 비교적 빠른 대응이 가능하며, 난분해성 물질도 측정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에 산업 현장에서 두루 사용되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에서 즉각적인 측정가능한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를 사용해왔으나, 비이온성 유기오염물은 전기전도도로 측정이 불가능 한 특성이 있어, 산업현장에서 탈이온수 혹은 초순수의 수질감시에 같이 쓰이기도 합니다.
※ 참고 TOC는 측정시간은 약 1~2분 정도여서 폐수처리장의 자동측정기(TMS) 등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 COD는 측정시간이 1~2시간, BOD는 5일이 걸리는 것에 비교하면, TOC는 측정 후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COD는 일본과 우리나라에서 표준으로 인정하고 있지만, 미국등에서는 사용하고 있지 않아 국제 표준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이 있다.
'과학용어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용어 설명] 미세먼지란 무엇인가? 위험한 이유는? (0) | 2023.03.09 |
---|---|
[환경용어 설명] BOD는 무엇인가? 개념, 의미, 뜻 해설 (0) | 2023.03.08 |